바탕화면에서 “시작” 버튼을 클릭하여 “프로그램” 항목에서 “한글 MS-DOS”를 클릭 합니다
Step 2) Step 1에서 “한글 MS-DOS”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한글 프롬프트 창이 뜨고, 여기에서 아래와 같이 “ipconfig /all” 이라고 쓴 뒤 엔터키를 칩니다.
Step 3) Step 2에서 엔터를 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게 되는데, 여기에서 Physical Address라고 쓰여진 부분이 바로 Mac Address(예:00-60-08-A1-4A-80)입니다.
♣의문 사항이나 문의점이 있을시에는 정보통신처(교내 6812, 6808~10)로 연락 바랍니다.
Step 1) 바탕화면에서 “시작” 버튼을 클릭하여 “실행” 항목을 클릭 합니다.
Step 2) Step 1에서 “실행”항목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고 여기에서 “cmd” 라고 입력 후 엔 터키를 칩니다.
Step 3) Step 2에서 “cmd”라고 입력 후 엔터를 치면 아래와 같은 프롬프트 창이 뜹니다. 여기에서 아래 와 같이 “ipconfig /all”이라고 쓴 뒤 엔터키를 치면 많은 정보들을 볼 수 있는데, 여기에 서 Physical Address라고 쓰여진 부분이 바로 Mac Address(예:00-04-76-71-CA-2B) 입니다.
♣의문 사항이나 문의점이 있을시에는 정보통신처(교내6812, 6808~10)로 연락 바랍니다.
콘솔상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(ifconfig ?a)를 치면 다음과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들을 볼 수가 있으며, 이 중 ether 0:1:2:80:4a:e7 이 Mac Address 에 해당합니다.
# ifconfig -a
♣ 의문 사항이나 문의점이 있을시에는 정보전산원(교내 6812, 6808~10)로 연락 바랍니다. |